“부정선거 주장 경청해야” “사과하고 탄핵의 강 넘자”…김문수-안철수 ‘격돌’


-
- 첨부파일 : 20250424193756484.png (189.8K) - 다운로드
-
26회 연결
본문
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양자 토론…‘부정선거’ ‘탄핵 사과’ ‘단일화’ 등 의제
한덕수 단일화 여부? 安 ‘X’-金 ‘O’…이준석 단일화는 반대로 安 ‘O’-金 ‘△’
‘지지율’ 놓고도 신경전…安 “수도권‧청년층 지지율 바닥” 金 “安보다 높아”
(시사저널=변문우 기자)
4월24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안철수(왼쪽), 김문수 후보가 토론 전 리허설을 하고 있다. ⓒ국회사진기자단
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에 진출한 '탄핵 찬성파' 안철수 후보와 '탄핵 반대파' 김문수 후보가 24일 맞수 토론을 진행했다. 이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관련 대국민 사과 문제는 물론, 탄핵심판 과정에서 불거진 부정선거론 등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. 김 후보는 일부 지지자들의 부정선거론을 경청해야 한다며 사전투표 폐지까지 주장했다. 또 여론조사 지지율 수치에 대해서도 서로 "본인이 높다"고 주장하며 팩트체크를 요구했다.
두 후보의 양자 토론은 이날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채널A 주관으로 진행됐다. 이 자리에서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"먼저 진심으로 솔직하게 사과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"며 "보수의 진짜 책임은 국민 앞에서 반성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"고 윤 전 대통령 탄핵 상황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촉구했다.
이에 김 후보는 오히려 "안 후보가 사과하라"며 안 후보가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에 찬성한 것을 문제 삼았다. 김 후보는 "안 후보는 국민의힘 중진 의원이고 대통령직인수위원장으로 윤석열 정부 출범의 산파를 했다"며 "윤 전 대통령이 잘못되면 이건 아니라고 얘기하고 당내 의원들을 모아서 (탄핵을) 막아내자 했으면 좋지 않았겠나"라고 반문했다.
그러자 안 후보는 "국회의원은 한 사람 한 사람이 헌법기관"이라며 "(윤 전 대통령은 계엄을 선포해) 헌법 조문 자체를 어겼기 때문에 탄핵소추안에 찬성한 것"이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. 이에 김 후보는 "당의 여러 의견을 함께 논의하고 잘 따라가는 것이 당원의 책무"라고 쏘아붙였다.
그 과정에서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본인이 대선에 마지못해 나오게 됐다는 취지로 주장했다. 그는 "제가 대통령을 하자고 한 것도 아닌데 갑자기 불려 나왔다"며 "모든 원인이 안 후보가 같은 당 소속 윤 전 대통령을 탄핵했기 때문"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.
두 후보는 '부정선거론'에 대해서도 토론을 나눴다. 김 후보는 "많은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분들에 대해 경청해야 한다"며 "공무원의 기본은 민원인에 대해 성실하게 답변할 책임이 있다. 답을 안 하고 음모론이라고 하면 되겠나"라고 주장했다. 일부 지지층이 주장하는 부정선거론에 사실상 동조한 셈이다.
반면 안 후보는 "(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) 관리 부실은 확실히 있다"면서도 "부정선거 증거가 발견되면 거기서 시작해 모든 일을 풀어갈 수 있는데 그런 일이 안 생기면 명백히 부정선거라 말하기 어렵다"고 반박했다. 그러면서 "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우리가 이겼다면 그것도 부정선거인가"라고 묻자, 김 후보는 "이겼다고 해서 부정선거가 없는 건 아니다"라고 답했다.
'대통령이 되면 사전투표제를 폐지할 건가'라는 공통 질문에 김 후보는 곧바로 "폐지하겠다"며 "투표 관리가 매우 어렵다. 투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라도 없애야 한다"고 설명했다. 반면 안 후보는 "사전투표제는 원래 취지 그대로 많은 사람들이 자기의 투표권을 발휘하기 위한 방법"이라며 "좋은 효과가 더 많다고 생각한다"고 다른 답을 내놨다.
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단일화할지 여부를 놓고도 양측의 입장이 엇갈렸다. 안 후보는 한·미 관세 협상이 중요하다며 "한 권한대행께서 이 일에 집중하시라 말하고 싶다"고 선을 그었다. 한 권한대행의 출마를 반대한 셈이다. 반면 김 후보는 "한덕수든 김덕수든 누가 나오더라도 반드시 단일화해야 한다"고 강조했다.
반대로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추진과 관련해선 '맞수'로 꼽혔던 안 후보가 긍정, 김 후보는 신중 입장을 표했다. 안 후보는 "이렇게 한 사람이라도 더 모으는 게 (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를) 이길 수 있는 유일한 길"이라 말했다. 반면 김 후보는 "여러 가지로 조건이 간단치 않은 많은 문제가 있다"며 확답을 피했다.
이들은 지지율을 놓고도 신경전을 펼쳤다. 안 후보는 "(김 후보가) 경기지사 시절에 제게 강의 초청을 했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 참 놀랐다"면서도 "김 후보가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이나 청년층, 2030 여성층 지지율이 바닥수준이다. 왜 그렇다고 생각하나"라고 물었다. 이에 김 후보는 "지금은 바닥 아니고 안 후보보다 조금 높은 걸로 안다"고 답했고, 안 후보는 "그렇지 않다"며 팩트체크를 요구했다.
Copyright © 시사저널.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.
댓글목록0